[광주] 무등산(2) 새인봉-양성청년회 2012-11-17
♣ 일시 : 2012-11-17(토) '12-11-16(금)~17(토) 1박2일 제2일차 [토요휴무]
♣ 장소 : 무등산 새인봉(490m, 광주 동구)
♣ 코스 : 증심사 종점-운소봉(465m)-새인봉-새인봉3거리-약사암-증심사-증심교-종점
♣ 인원 : 5명 (서울/이창신 오산/이관신 용인/이규홍 진천/이호갑 함평/이상진)
♣ 비고 : 양성청년 11월 번개산행, 뒷풀이 합류 ; 광주/이민원, 이용일
■ 무등산 새인봉 산행지도
■ 간이 주차장
<마을 부녀회에서 운영하는 주차장>
▲ 주차료 4천원, 버스종점 부근에 있어 아래 쪽에 있는 공용주차장에 비해 등산로 입구까지 접근이 매우 쉽다.
■ 등산로 입구
<쓰러진 나무>
<주차장-새인봉 능선>
■ 운소봉
<약사암>
<운소봉>
<추모비>
■ 추모비
■ 암벽지대
■ 새인봉
<중머리재-서인봉-새인봉3거리>
<돌아본 새인봉>
<새인봉3거리 내려가는길>
■ 새인봉3거리
<약사암 내려가는길>
■ 약사암
<일주문>
<약사암 배치>
<약사암 안내문>
<약사암 전경>
<대웅전>
<약사암에서 본 새인봉>
<새인봉>
<쉼터>
■ 당산나무 입구3거리
■ 단풍군락
■ 증심사 입구3거리
<증심사 일주문>
<공덕비>
■ 증심사
<사천왕문>
<대웅전>
<지장전>
<삼층석탑>
<석조보살입상>
<봉황대,중머리재 갈림>
■ 의재 허백련 유적
<등산화 세척장>
■ 상가지구
■ 버스종점
■ 가두연설
<문성근>
■ 전북식당
■ 보리밥 비빔밥
■ 기념사진
<새인봉을 등지고>
<중봉>
▲ 광주에 내려와서 유명한 무등산 입석대와 서석대는 가보지 못하고 대신 중봉을 배경으로 사진 찍다.
<하산 후 민원,용일 합류>
<단체사진>
■ 산행일지
산행 NO. | 1,517 [양성청년 11월 번개산행] |
산행일자 | 2012-11-16(금)~17(토) (1박2일) [연차휴가] |
산행지 | 1. 무등산 (1,187m, 광주 북구 / 전남 화순군 이서면, 담양군 남면) 2. 미담채 (광주) [양성이씨 청년회 광주,전남지회 회동] 3. 무등산 새인봉 (490m, 광주 동구) |
산행코스 | 1. [무등산] 증심사 종점-증심교-토끼등(460m)-덕산너덜-동화사터(805m)-중봉(915m)-서석대 전망대-서석대 정상(1,100m)-입석대(1,017m)-장불재(900m)- 중머리재(586m)-서인봉(608m)-새인봉(490m)-증심사 종점 3. [무등산 새인봉] 증심사 종점-운소봉(465m)-새인봉-새인봉3거리-약사암-증심사-증심교-종점 |
산행안내 | 개별 |
회비 | 2. ₩30,000 |
참석인원 | 1. 홀로 2. 13명 남 12, 여1 서울/이창신 수원/이재규 부부 오산/이관신 용인/이규홍 진천/이호갑, 이대운 광주/이민원, 이도기, 이호기, 이용일 함평/이상진 벌교/이명은 3. 5명 서울/이창신 오산/이관신 용인/이규홍 진천/이호갑 함평/이상진 뒷풀이 합류 ; 광주/이민원, 이용일 |
산행일정 요약 |
'12-11-16(금) [무등산] 11:07 증심사 종점 발-11:26 증심교-12:03 토끼등(460m)(9')-12;20 4거리(4')(→좌)-12:39 4거리(3')-12:51 전망대/비포장도로(7')-13:19 동화사터(3')-13:51 중봉(915m)(4')-14:24 서석대 전망대(8')-14:36 서석대 정상(1,100m)(6')-14;58 입석대(1,017m)(8')-15;15 장불재(900m)(22')-16:11 중머리재(586m)(2')-16:21 서인봉(608m)-16:42 새인3거리-16:56 새인봉(490m)(2')-17:44 증심사 종점 착 <산행시간 : 휴식 포함 소계 6시간 37분> 휴식 1시간 22분 '12-11-17(토) [무등산 새인봉] 8:41 증심사 종점 발-9:38 운소봉-9:52 새인봉-10;06 새인봉3거리-10;15 약사암(8')관람-10:39 증심사3거리(19')관람-11:07 증심교-11:24 종점 착 <산행시간 : 사찰관람 27분 포함 소계 2시간 43분> |
경 유(1) | '12-11-16(금) 5:09 집/하계동 발-5:20 하계역-버스(146번)-5;57 청담역-6:19 강남터미널 착-6;50 서울 발-8:08 정안 휴게소(14')-10:15 광주터미널(18')-11:07 증심사 종점 착 [무등산] 11:07 증심사 종점 발-11:26 증심교-11;45 쉼터-12:03 토끼등(460m)(9')-12;20 4거리(4')(→좌)-12:39 4거리(3')-12:48 4거리-12:51 전망대/비포장도로(7')-13:00 4거리-13;07 3거리-13:19 동화사터(804m)(3')-13:35 우갈림(장불재)-13:41 봉우리(911m 송신소)-13:47 좌갈림-13:51 중봉(915m)(4')-14:00 도로-14;06 초소(4')-14:24 서석대 전망대(8')-14:36 서석대 정상(1,100m)(6')-14;58 입석대(1,017m)(8')-15;15 장불재(900m)(22')-15:52 용추3거리-16:07 약수터-16:11 중머리재(586m)(2')-16:19 헬기장-16:21 서인봉(608m)-16:42 새인3거리-16:56 새인봉(490m)(2')-17:22 이정표-17:27 우갈림-17:38 상가-17:44 증심사 종점 착 17:50 종점 발-50번-19:07 지적공사 착-19:30 미담채(-22;03)석식-22;34 모텔 착-24:00 취침 |
경 유(2) | '12-11-17(토) 5:00 기상-6:42 모텔 발-6:54 식당/조식-7:45 상무지구 발-8:20 증심사 종점 착 [무등산 새인봉] 8:41 증심사 종점 발-8:59 능선-9:38 운소봉-9:52 새인봉-10;06 새인봉3거리-10;15 약사암(8')-10;30 당산나무3거리-10:39 증심사3거리(19')관람-11:07 증심교-11:18 상가-11;24 종점 착 11:50 식당(~12;48)-13:30 광주터미널 착-14:19 광주 발-15:55 이인휴게소(17')-18:40 강남터미널 착-19:30 집 착 |
소요경비 | 1. 회비 : 30,000 2. 교통비 소계 ₩38,900 1) 고속버스 : 서울-광주 16,900 x 2(왕복) = 33,800 2) 전철 : 1,350 x 2회 = 2,700 3) 버스 : 광주 1,200 x 2회 = 2,400 3. 식량 : 주먹밥 1,200 버거 1,200 매실물(2) 소계 ₩2,400 4. 식대 : <조식> 설렁탕 7,000 + 외 3,000 = 10,000 소계 ₩10,000 5. 기타 : 총계 ₩81,300 [공용] <11/16 금> 1. 수입 : 회비 30,000 x 명 = 찬조금 2. 지출 1) 미담채 식대 ₩ 2) 숙박비 : 6인 ₩80,000 3) 기타 : 맥주,안주 <11/17 토> 1. 수입 ; 조식 식대 10,000 x 5명 = ₩50,000. 2. 지출 계 ₩50,000 1) <조식> 북어해장국(4) 28,000 설렁탕(1) 7,000 소계 ₩35,000 2) 주차비(2대) 등 ₩15,000 소계 ₩15,000 3) <중식> 보리밥(6) 42,000 막걸리(1) 3,000 계 ₩45,000 (이용일 찬조) |
비고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