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천주교 성지,성당

[상주] 천주교 신앙고백비 2011-08-06

이창신 2011. 8. 10. 09:59

♣ 일시 : 2011-08-06(토)  9:59~10:11 (12')

♣ 장소 : 천주교 신앙고백비 (경북 상주시 청리면 삼괴2리)

♣ 인원 : 4명 (이창신, 임경애, 이수영, 김수정)

♣ 비고 : 하계휴가

 

■ 천주교 신앙고백비

[돌에 새겨진 신앙 고백]

경북 상주시 청리면 일대에는 옛날 박해시대부터 많은 교우촌이 형성돼 있었다. 이 곳 석단산(石壇山) 아래 현재의 청리면

삼괴2리 안골짝의 커다란 바위에는 자신의 신앙을 명백히 하기 위한 한국 교회 유일의 신앙 고백비가 서 있어 지나는 사람

들의 마음을 숙연하게 한다.

 

상주군에는 1785년 을사 추조 적발 사건 당시 문중의 박해로 서울서 낙향한 서광수(徐光修)에 의해 처음 복음이 전파된 후

많은 사람들이 입교해 천주교를 믿어 1801년 신유박해를 비롯해 1827년 정해박해 등 역대 박해 때마다 수많은 신자들이

교했다.

 

특히 신앙 고백비가 서 있는 청리면 삼괴2리 부락에는 1866년 병인박해 전부터 김해(金海)씨 집안 김복운(金福云)의 아들

4형제가 열심히 천주교를 믿어 온 것으로 전해진다. 그중 차남인 삼록(三錄, 도미니코, 1843-1932년)은 특히 신앙이 돈독해

주위의 칭송을 받았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다른 형제들은 모두 박해의 서슬이 두려워 신앙을 버렸으나 김삼록은 끝까지 천주교를 믿어

하릴없는 도피 생활을 해야만 했다. 다행히 박해의 악랄한 손길을 피해 목숨을 구한 그는 1866년 한불 수호 조약으로 공식

적인 박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1894년부터 1900년 초 그는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기 위한 표징을 단단한 바위 위에 새겼다. 자신과 집안의 문중이 살고 있던

석단산(石壇山) 아래 높이 127센티미터, 폭 39센티미터, 두께 22센티미터, 두께 22센티미터의 신앙고백비(信仰告白碑)를

건립한 것이다. 바위 위에서 의젓한 모습으로 마을을 내려다보고 있는 이 고백비에는 천주님과 교황, 주교, 신부, 교우를

위한 기도가 새겨져 있다.

비롯 공식적인 박해는 끝났다 하나 아직 지방에는 사사로운 박해가 끊이지 않고 있던 시절,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의 신앙

고백을 이렇듯 감대하게 했다는 점에서 신앙 고백비가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신앙 고백비가 공식적인 교회 사적으로 고증된 것은 이제 겨우 10년을 넘어섰다. 김삼록은 신앙 고백비를 세운 뒤

교난을 피하기 위해 고백비 앞에 포플러나무, 미루나무 등을 많이 심어 앞을 지나가는 사람들의 눈을 피하도록 가려 두었다.

 

그 뒤 1945년 해방이 되자 그의 손자인 김순경(당시 79세)이 나무들을 베어 냄으로써 비로소 신앙 고백비 앞이 훤하게 트이게

되었다. 1982년 당시 상주 서문동 본당 이성길 신부가 우연히 김순경의 둘째아들을 만나 신앙 고백비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됨으로써 교회 안에 처음 알려지게 되고 그로부터 2년 뒤인 1984년 오기선 신부의 답사와 함께 신앙 고백비에 대한 확실한

고증이 이루어지게 됐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 천주교 신앙고백비 약도

<1> 위치 

 

<2> 상세

▲ 남상주 IC 좌회전/상주방향 - 경북대 상주캠퍼스 3거리에서 좌회전 - 삼괴보건진료소앞 4거리에서 우회전- 이정표에서 우회전

  - 신앙고백비 

 

■ 신앙고백비 입구

 

 

 

<대지랑못>

 

 

 

■ 숭모재

<석단문>

석단문 우측에 신앙 고백비가 있는데 숭모재는 신앙고백비를 세운 김삼록(三錄, 도미니코) 문중인 김해김씨 재실이다.

 

<숭모재>

 

 

  

■ 신앙고백비 전경

 

 

 

 

  

 

■ 신앙고백비

 

<신앙고백비 안내문>

 

<정면>

 

<후면>

 

<비문 해석>

 

 

 

 

 

<야외 제대>

 

 

 

 

 

 

 

■ 탐방일지

산행 NO. 1,359 <하계휴가> 
산행일자 11-08-04(목)~06(토)  (2박3일)
여행 및
산행지
1. 충의사 (경북 상주시 사벌면)
   
상주박물관
(경북 상주시 사벌면 삼덕리), 전통의례관, 태양에너지홍보관
   
상주국제승마장
  (경북 상주시 사벌면)
   
자전거박물관
(경북 상주시 도남동)
   
도남서원
(경북 상주시 도남동)
   
상도촬영지
(경북 상주시 중동면)
   
갑장산
(806m, 경북 상주시 지천동 거동동, 낙동면)

2.
천봉산
(435m, 경북 상주시 만산동, 부원동, 남적동, 연원동)
   
임란북천전적지
(경북 상주시 만산동)
   
충신의사단비
(경북 상주시 연원동)
   
흥암서원
(경북 상주시 연원동)
   
노악산 (729m, 경북 상주시 남장동,내서면 능암리 북장리)  노음산

   
남장사 (경북 상주시 남장동)
   
북장사
(경북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우복종가 (경북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대선루,계정

   
동학교당 (경북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황령사
(경북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성주봉휴양림
(경북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
   
사가정
(경북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

3.
상주향교
(경북 상주시 신봉동)
   
천주교신앙고백비 (경북 상주시 청리면 삼괴2리)
   
존애원 (경북 상주시 청리면 율리)
   
체화당
(경북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
   
창석사당
(경북 상주시 청리면 가천리)
   
오작당
(경북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양진당
(경북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보물 1568호
   
의암고택
(경북 상주시 낙동면 운펑리)
   
구상화강암
(경북 상주시 낙동면 운펑리) 천연기념물 69호
   
공검지
(경북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
   
전고령가야왕릉
(경북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용화사
(경북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마원성지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여행 및
산행코스
1. 충의사-상주박물관-상주국제승마장-자전거박물관-도남서원-
    상도촬영지-갑장산
2. 천봉산-임란북천전적지-충신의사단비-흥암서원-노악산-남장사-북장사-
    우복종가-동학교당-황령사-성주봉휴양림-사거정
3. 상주향교-천주교신앙고백비-존애원-체화당- 창석사당-오작당-양진당-   의암고택-구상화강암-공검지-전고령가야왕릉-용화사-마원성지

[갑장산 산행]
용흥사 주차장-365봉-진등재-수선산 갈림-임도-용흥사갈림- 시루봉(777m)-갑장산-갑장사-문필봉(696m)-상산(696m)-우갈림(굴티고개)-주차장

[천봉산 산행]
(무양동-)북천전적지-묘봉쉼터-약수터-천봉산-영원각-만산2동입구(-무양동)

[노악산 산행] 중궁암 입구-중궁암-노악산-전망대-북장사 갈림-옥녀봉-삼거리-돌장승-상부주차장
산행안내 개별
산행회비  
인원  1. 산행 홀로
2. 4명 (이창신, 임경애, 이수영, 김수정)
산행일정
요약
<제1일차>
[갑장산 산행]
14:44 용흥사 주차장 발-15:03 365봉-15:25 진등재-16:20 수선산 갈림-16:28 임도-17:09 용흥사갈림-17:24 시루봉(777m)(3)-17:41 갑장산(11')-18:08 갑장사(4')-18:24 문필봉(696m)-18:33 상산(696m)(3')-18:38 우갈림(굴티고개)-19:24 주차장 착
<산행시간 : 휴식 포함 4시간 40분 소요> 휴식 26분

<제2일차>
[천봉산 산행]

5:45 무양동 발-6:12 북천전적지(3)-6:56 묘봉쉼터-7:12 약수터(3')-7:25 천봉산(16')-8:09 영원각(7')-8:30 만산2동회관-8:33 3번국도-9:08 무양동 착
<산행시간 : 휴식,접속 포함 3시간 23분 소요>
휴식 29분, 접속 1시간 2분  계 1시간 31분

[노악산 산행]
12:05 중궁암 입구 발-13:35 중궁암(4')-13:14 노악산(15')-13:38 전망대-13:48 북장사 갈림-14:04 옥녀봉-14:07 삼거리(3')-15:00 돌장승(3)-15:13 상부주차장 착
<산행시간 : 휴식 포함 3시간 8분 소요> 휴식 28분
경 유 (1) '11-08-04(목) 제1일차
5:22 집 발-6:39 충주휴게소(27')-8:21 충의사 착(208km)-조식-9:30 발-9:38 상주박물관(-10:59)-11:03 국제승마장(15')-11:29 자전거박물관(217km)(51')-12:24 도남서원(14')-12:56 상도촬영지(228km)(11')-13:53 용흥사 주차장(251km)-중식

[갑장산 산행]
14:44 용흥사 주차장 발-15:03 365봉-15:19 임도갈림(2')-15:25 진등재(4거리)-15:32 안부-15:45 좌갈림-15:47 이정표-16:05 좌/임도-16:20 수선산 갈림(5km)-16:28 임도통과-16:36 이정표-16:41 휴(3')-17:05 우갈림(낙동,용포)-17:09 용흥사갈림3거리-17:14 전망바위-17:20 우갈림(용포)-17:24 시루봉(777m)(3)-17:41 갑장산(11')-17:55 팔각정-18:00 우갈림(약수터,승곡)-18:01 갈림(→좌)-18:08 갑장사(4')-18:21 4거리-18:24 문필봉(696m)-18:33 상산(696m)(3')-18:38 우갈림(굴티고개)-18:56 갈림(우X)-19:24 주차장 착

석식-20:04 주차장 발-20:30 상주 착(261km)-발리모텔-23:20 취침
경 유 (2) '11-08-05(금) 제2일차
5:00 기상

[천봉산 산행] 5:45 무양동/모텔 발-6:12 북천전적지(3)-6:30 좌갈림-6:32 체육공원(우갈림)-6:40 좌갈림(지산교)-6:42 우갈림(북천전적지)-6:52 정자-6:56 묘봉쉼터-7:00 우갈림(영원각)-7:05 갈림(→우)-7:12 약수터(3')-7:20 우갈림(바깥너추리)-7:25 천봉산(16')-7:50 약수터-7:59 갈림(→좌)-8:09 영원각(7')-8:30 만산2동회관-8:33 3번국도-9:08 무양동/모텔 착

조식-10:09 무양동/모텔 발-10:20 북천전적지(35')-11:05 충신의사단비(11')-11:15 흥암서원(15')-11:40 연수암(7')-11:52 중궁암 입구 착(270km)

[노악산 산행]
12:05 중궁암 입구 발-12:07 좌갈림-12:33 중궁암 3거리-13:35 중궁암(4')-12:45 우갈림(중궁암)-12:48 전망바위-13:00 전망대-13:14 노악산(15')-13:38 전망대-13:41 바위-13:48 우갈림(북장사,희미)-14:04 옥녀봉-14:07 삼거리(3')-14:36 안부(좌꺽임)-14:50 계곡(3)-15:00 돌장승(3)-15:13 상부주차장 착

15:20 남장사(20')-16:23 주차장 발(272km)-16:46 북장사(14')-17:21 우복종가(295km)(18')-17:55 동학교당(305km)(31')-18:38 황령사(310km)(14')-18:58 성주봉휴양림(24')-19:25 사가정(13')-20:17 상주 착(340km)-석식(개성보쌈)-23:30 취침
경 유 (3) '11-08-06(토) 제3일차
5:00 기상-조식-8:58 무양동/모텔 발-9:16 상주향교(11')-9:59 천주교신앙고백비(353km)(12')-10:22 존애원(356km)(7')-10:42 체화당(9')-10:57 창석사당(6')-11:31 오작당(14')-11:47 양진당(18')-12:14 의암고택(385km)(39')중식-13:10 구상화강암(13')-14:12 공검지(408km)(29')-15:24 전.고령가야왕릉(10')-15:40 용화사(4')-16:19 마원성지(445km)(18')-17:30 충주 휴(12')-18:40 광주 휴(10')-20:05 집 착(624km)
소요경비 1. 교통비  소계 ₩119,700
   1) 주유비 : 624km x
170
 ₩106,000       
   2) 통행료 : 계₩ 13,700 
      [8/4] 구리 800  동서울-점촌 7,200      
      [8/6] 충주-동서울 4,900  구리 800
                                                                                    
2. 식량  소계 ₩ 33,340
     [8/4] 하나로마트 식량 15,340
     [8/5] 편의점 버거(2) 2,000
 
          편의점 샌드위치(3) 5,200 
     [8/6] 편의점 샌드위치 2,000
              편의점 샌드위치(3) 5,200
              편의점 샌드위치(2) 3,600
3. 식대  소계 ₩31,000
     [8/5] 석식 돌솥밥(3) 21,000  막국수 5,000  만두 5,000  ₩31,000
   
4. 숙박비   소계 ₩90,000
   1) 상주 : 발리모텔(4인) 45,000 x 2일 = 90,000 

5. 입장료  소계 ₩3,600
   1) 입장료 : 상주박물관   어른(3) 3,000 청소년 600   ₩3,600

   총계 ₩277,640

 

"끝"

 

'천주교 > 천주교 성지,성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창] 평창성당 2011-08-14  (0) 2011.08.16
[문경] 마원성지 2011-08-06  (0) 2011.08.10
[서울] 명상의집 2011-08-01  (0) 2011.08.09
[포천] 일동성당 2011-07-24  (0) 2011.07.25
[강화] 내가성당 2011-06-30  (0) 201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