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2016-08-07(일) '16-08-03(수)~07(일) <4박5일> 제5일차
♣ 장소 : [중국] 정주-진성-양성현-낙양-정주-개봉-정주
♣ 인원 : 24명 (남20, 여3, 중국1)
♣ 비고 : 2016 양성이씨 시조 뿌리찾기 중국관광
■ 명함
<1>
■ 이수광 고증
[출처] 양성이씨 중국뿌리찾기마당 http://cafe.daum.net/yangsungchina/bInw/42
■ 중국 산시성 진성일보 이길의 기자 취재기
2015년9월25일
사이트 참조
http://old.jcnews.com.cn/szbk/thrbwbb/html/2015-09/25/content_8459848.htm
http://r.m.baidu.com/uujqmhl
- 신문내용 확대 -
一封国外来的寻根信引发一次考证,最终得出结论
“韩国阳城李氏”祖籍在阳城
| ||
|
李氏祠堂 ”外景。
阳城境内的析城山下,有一个名为“银河”的小山村。
早在千年之前的北宋时期,从这座偏僻的小山村走出一员大将,受宋仁宗之命,前往高丽戡乱。后受高丽皇帝之封,最终留守封地,生息繁衍,形成“韩国阳城李氏”一脉。
양성 경내에 "은하"라는 마을이있다.이미 천년전의 북송시기에 이 외진한 마을에서 대장군이 탄생되었다. 대장군은 "송인종"으로부터 고려국에 반란을 평정할 명을 받고 고려로 갔다. 그후 고려 황제로 부터 관직과 땅을 받고 그곳에 남아서 번성하며 "한국 양성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李秀匡像。
高丽王朝(918年-1392年),简称高丽又称王氏高丽。
文宗王徽(1046年-1083年)是高丽王朝英主贤王,其统治下的高丽王朝进入了鼎盛时期。文宗十分崇慕宋朝先进的文化,在位期间大量吸收宋朝的文人、艺人到高丽入仕为官,以达到辅佐朝政和学习宋朝先进文化的目的。
고려왕조(918년-1392년),약칭 고려 혹은 왕씨 고려. 문종왕(1046년-1083년)고려 왕조의 영주 현왕 문종왕이 고려 왕조를 전성시기로 이끌어 갔다。문종은 송조 의 선진적인 문화를 숭배하였다.문종왕 통치시기에 송조의 문인、예인들을 흡수 하여 고려에서 관직을 하사 하며 북송 선진적인 문화를 도입 하는 목적이었다。
1 深山里的“李氏祠堂”
银河村属阳城县横河镇,距县城82公里。全村由15个自然村组成,现常住村民30多人。银河村北枕析城山,南出银河峡,西临鳌拜山,东依大乐岭。由于地处南太行山断带,这里自然风光优美,神奇传说不绝于耳。
8月初,记者来到太行山深处的银河村后发现,村民的房屋均是就地取材,用各色石头修砌而成。村东边的高处有座院落,四周围墙是用石头活砌而成,高大的院门楼用青砖修砌。门楼顶部虽然显得破败不堪,但在周围众多石头房屋的衬托下,整座门楼却显得格外引人注目。“那是‘李氏祠堂’”,同行的银河村支部书记赵锁应说,“这个姓李的人可了不得,是北宋时期的大将,后来去了高丽,如今他在韩国还有后人。”
赵锁应提到的“姓李的”名叫李秀匡。近千年前,他从太行山深处走出,后出使高丽,成为如今“韩国阳城李氏”的始祖。
2 “韩国阳城李氏”来信寻根
“韩国阳城李氏 ”来信寻根
58岁的赵锁应,从1983年就担任了村委会主任,1986年又担任村支部书记,在村里任职已有32年了。他说:“2008年,在韩国的阳城李氏曾有人写信,与阳城联系,希望认祖归宗。”“确实有这回事。”8月26日上午,在阳城县地方志办公室,主任王家胜对此予以证实。
据他回忆:2008年6月,阳城县政府接到一封来自韩国的信件。信件是寄给晋城市市长,后由晋城市外事部门转给阳城县政府。
信件很快转到了王家胜手里。这是一封打印的信件:“尊敬的晋城市市长先生:您好!我是一位韩国人,我的名字叫李在焕。我的先祖是阳城李家李秀匡。”
写信者李在焕在信中叙述道:祖先李秀匡是一位1047年(北宋仁宗时期)出使韩国的使臣,曾经担任宋仁宗护卫近卫军,后来受命出使高丽国,因功受封高丽特进金吴大将军上柱国,留籍当地。“现在我的祖上希望我可以找到先祖的后人,这就是我发这封邮件的原因。”李在焕在信中说,他是阳城李家第27世孙。而与其同辈的阳城李家世孙人才辈出,既有政治家,也有医生、教授和科学家。最后,李在焕在信中说:“如今我的祖上嘱托我一定要找到先祖的后人,我们会亲自去拜访。”落款日期“2008.6.6”。
接到李在焕的信件后,阳城县政协与县地方志办公室人员组成考察组,王家胜就是其中一员。根据李在焕叙述的情况,着手开始寻找其家乡所在。
经多次联系,李在焕将《高丽国阳城盘谷李氏家谱序》的复印件邮寄给王家胜。众人吃惊不小:韩国也有阳城!
上网查阅韩国地图,韩国首都首尔的东南部忠清北道有一个名为“阳城郡”的地方。根据李在焕的说法,那里原是其先祖李秀匡生前的封地,而“盘谷”则是李氏家族墓地所在地。
3 先祖李秀匡北宋时出生于阳城县
王家胜等人翻遍了相关史料,走遍了阳城,就是没有找到“盘谷”这个地名。
一天,作为山西大学客座教授的王家胜想起了唐代韩愈的《送李愿归盘谷序》一文,开头一句“太行之阳有盘谷”,这为他的寻找提供了目标和方向。终于,在台头乡(现合并于蟒河镇)盘龙村的金台寺,发现一通清代石碑上有“南靠盘谷,东临析城”的记载。“我们村就有‘盘谷’啊!”正翻找时,银河村村支书赵锁应有事找到王家胜的办公室。
闻听此言,王家胜当即随赵锁应赶往银河村。“盘谷之间,泉甘而土肥,草木丛茂,居民鲜少。”王家胜实地查看发现,银河村所处的银河峡,其地形地貌与韩愈文中所提的盘谷特征非常吻合。银河峡的河床上,还发现一块上刻“盘古开天石”字样的红色巨石。
据赵锁应说,银河村地域富含银矿资源,在古代曾开采银矿。由于经济较富裕,所以为官宦和商贾所掌控。或许是出于安全角度考虑,当时还办有镖局、武馆,形成了练兵习武的悠久传统,出现过不少武将。
经多方查证,王家胜终于从尘封已久的历史遗迹中,查找到了与“盘谷”有关的一些线索和脉络。银河村的银洞坪自然村,过去就叫“盘谷社”,也称“李盘谷”。
经过深入细致的调查和考证,最终尘埃落定,李在焕先祖李秀匡北宋时出生于阳城县的“盘谷”,即现在的银河村银洞坪自然村。
4 李秀匡出使韩国,后因功受封留籍当地
对“韩国阳城李氏”考证结束后,2010年夏,阳城县政协派包括王家胜在内的调查组人员前往山东烟台,与已在当地一家韩资企业任职的李在焕会面。
得知先祖故乡有了下落,且阳城县驾岭乡南峪村还遗存着规模很大的李氏先人的坟茔,李在焕很激动,当即表示要尽快回阳城拜祭先人。
时隔不久,李在焕到达阳城县南峪村,在李氏先人的坟前行叩拜之礼。“说来也怪,刚到坟前时,天空非常晴朗,可当李在焕先生叩拜时,天空却阴了起来,还下了雨。”王家胜回忆说,当时李在焕仰天长叹:“真是感动了天地啊!”
那次回乡祭祖后,李在焕又给王家胜来信,希望了解家乡的土特产情况。王家胜随后写信,将阳城土特产情况详细介绍给了远在烟台的李在焕。
之后,李在焕又给王家胜来信表示,欲组成有30多人的“韩国阳城李氏”寻亲团回家乡,进行寻根之旅。“李在焕先生的这一愿望,至今还没有成行。”王家胜说。
记者通过网上查询得知,目前“韩国阳城李氏”约4万人,已传29代,其中主演电视剧《大长今》被国人所知的韩国艺人李英爱,为“韩国阳城李氏”第28代孙。
有关李秀匡的记载,在国内史料中无从考证。有种说法认为,李秀匡出生于北宋真宗景德元年(1004年),宋仁宗天圣十年(1032年),李秀匡考中武秀才,被皇上召为天子护卫近卫军。李秀匡古稀之年,留守高丽非常思念故乡,将封地起名“阳城”。离世之前,撰写了《高丽国阳城盘谷李氏家谱》,寓意后裔永远不忘中国故乡。
虽说,“韩国阳城李氏”故乡考证尘埃落定,可王家胜仍有疑惑:李秀匡根出自在唐代就居住在峪里村(今驾岭乡南峪村)的李姓家族,最迟在宋初就迁居到古称盘谷的银洞坪。可自清咸丰年后150多年,银洞坪李姓去向不明。“这支李氏家族最终去了哪里?”这个谜团给王家胜留下了不解的疑惑。
5 “韩国阳城李氏”回乡祭祖
虽然对“盘谷”有了定论,可是王家胜又对李氏家族从何而来产生疑惑。
据赵锁应说,现在村里常住人口30多人,却没有一户姓李的村民。即使是早些年,也没有李姓存在。
王家胜在银河村往北的横河镇紫院村的一通古石碑上发现了线索。“紫院村里李姓村民非常多。”紫院村村民说,银河村的李姓人就是从紫院迁移过去的。
经进一步考证,紫院村是李氏一族的故乡,其根出自唐代就居住在“峪里”村的李姓家族。“‘峪里’就是如今的阳城县驾岭乡南峪村。”王家胜说,在宋初,这支李氏家族就从南峪西迁至析城山南门河下游,在晋豫两省交界处不足2公里的横河镇银洞坪,即古“盘谷”,也就是现在的银河村扎根。
查阅史料可鎰知,宋仁宗赵祯是北宋第四位皇帝(1022年3月23日——1063年4月30日在位)。“根据李在焕提供的相关资料可以看出,其先祖李秀匡是1047年出使韩国的使臣。”王家胜说,李秀匡曾担任宋仁宗天子护卫近卫军,从时间上看也与史料吻合,其出使高丽的时间,是在宋仁宗登基25年之时。后因功受封高丽特进金吴大将军上柱国,留籍当地。
王家胜解释说,“上柱国”自春秋起为军事武装的高级统帅。北魏、西魏时设“柱国大将军”“上柱国大将军”等。隋代有“上柱国”“柱国”,以封功臣。唐代以后兵权归中央机构,“上柱国”逐渐成为功勋的荣誉称号。
李吉毅
번역자료
중국 산시성 진성일보 이길의 기자 취재기
2015년 9월 25일
1. 깊은 산속의 이씨사당
은하촌 은 "양성현" "황하진"에 속하며,양성현과 82KM 떨어져 있다. 마을은 15개의 자연촌으로 형성되었다,현재 마을 주민수는 30여명이다. "은하촌" 북쪽은 "시성산"이 있고 남쪽은 "은하협곡"과 서쪽은"오배이 산" 있고 동쪽은 "다웨이 령"이 있으며 "남 태항산의 끝단에 있다. 이곳의 경치가 아주 수려하며 신기한 전설이 많다. 8월초,기자가 "태항산" 깊은 곳에서 "은하촌"을 발견하였다. 주민들의 집은 나무와 가지 각색의 돌로 지여져 있다。마을 동쪽 높은곳에 집한채 가있었으며 높고 큰 대문 입구는 내화 벽돌로 만들어져 있었고 ,네개의 기둥은 돌로 만들어져 있었다。문루는 형편없이 퇴락해 보였지만 수많은 "돌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건축물"은 특히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그것이 바로"이씨 사당"이었다,동행하던 은하촌 담당 서기 가 말했다"사당의 주인이 아주 대단한 분이시다.북송 시기의 대장군이다, 그후 그분이 고려에갔다 아직도 한국에 그분의 후손이 있다"라고했다. 조쇄응씨가 말한 "이씨"의 이름은 "이수광"이다 천년전에 그분이 태항산 깊은 곳에서 나와 고려에 갔다, "한국 양성 이씨"의 원조다
2. 한국양성이씨 뿌리를 찾아달라는 편지가 왔다
58세의 조쇄응씨는 1983년 부터 촌민 위원회 주임을 담당 하였다,1986에 촌지부 서기로서,현재 임직한지 32년되었다。그분 얘기로:“2008년,한국에 있는 양성이씨로부터 편지가 왔다. 편지 내용은 "양성과 연락하여 조상을 찾고 싶다"라고 왔고, 8월26일 오후,양성현 지방 사무실 주임 왕가승은 이런 사실을 인정하였다。왕가승의 회상:2008년6월,양성현 정부가 한국에서 온 편지를 받았다。편지는 양성현 시장 에게 보냈던 것이다. 그 후 이것을 "진성시"외사 부서에서 양성현 관청에 전달된 것이다。이 편지를 바로 왕가승이 받게 되었다。이것은 인쇄 형식으로된 편지다:“존경하는 진성시 시장님:안녕 하십니까! 저는 한국사람으로 이름은 이재환 입니다。우리 조상은 양성 이가 이수광 입니다。” 라고 편지 작성자 이재환 님은 편지에서 조상 이수광은 1047년(북송 인종시기)한국으로 외교로 간 사신 입니다. 송 인종의 근위대 호위 담당한 적도 있습니다. 고려로 건너간 후 공이 많아서 고려특진 금오 대장군으로 칭송되어 고려에 남아 있기로 했습니다。“우리 조상이 내가 선조를 찾을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라고 하였고 이것이 제가 메일 보낸 원인 입니다。”이재환 님은 편지에서,그는 양성이씨 제27세손 이고 같은 세손에 유명인이 많으며 그중 정치가,의사,교수,과학자가 있다고 했다. 이재환님이 편지에서:“이제 우리 조상이 나한테 반드시 선조를 찾아야 된다고 했습니다,우리가 직접 중국에 있는 현재의 후손을 찾아가서 만나겠습니다。”낙관 날짜“ 2008.6.6”。
편지를 받은 뒤 양성현 "정협"과 현 지방 사무실 인원이 탐사팀 조직을 만들었다,왕가승이 그중 한명 이였다。이재환님의 정보에 따라 그의 고향을 찾기 시작하였다。많은 연락을 한후 이재환님이 <고려국 양성반구 이씨 족보>를 인쇄하여 왕가승에게 보내주었다, 족보를 본 후 다들 깜짝 놀랐다 :한국에도 양성 이씨 있다고.. 인터넷에 한국 지도를 보면 서울 동남부 충청 북도 가까이에 "양성군”이란 곳이 있다. 이재환 님의 말에 따르면 그곳이 옛날 "이수광"이 고려 황제로부터 하사받은 곳이다 "반구"는 이씨 묘지 있는 곳이라고 하였다.
3. 선조 이수광 북송의 출생지는 양성현
왕가승 등 인원들은 관련 자료들을 샅샅이 뒤지며 양성을 전부다 찾아봤는데 "반구"라는 지명을 찾지 못했다。어느날, 산서대학 석좌교수인 왕가승이 당나라 떄 "한유"의 시의 《이원반구로 돌아간다》 첫마디인 “태항산은 반구에 있다”라는 말에 방향을 찾았다。끝내 "대두향"에서 (현재 황하진)"반용촌"의 "금대사" 절에 있는 청대 비석에 “남쪽 반구,동쪽 임시청”이 기록 되어 있었다。“우리 촌에 ‘반구’가 있구나!” 열심이 찾고 있을 때,은하촌 촌주임 조쇄응씨가 왕가승 사무실에 찾아왔다。
소식을 들은 후 조쇄응은 은하촌을 살펴보았다. 은하촌은 “반구 이고,물이 맑고 땅이 좋고,초목이 무성하며 주민도 적다。”왕가승도 직접 찾아 고찰 후 발견하였다. 은하촌이 있는 은하 협곡,그의 모양은 "한유"가 만든 시에서 나온 "반구"와 가장 비슷하다。은하 협곡 강바닥에 "반구가 하늘을 여는 돌"이라는 글이 큰 바위에 붉은 글로 적혀져 있었다。 다방면으로 조사하여,왕가승이 오래된 역사 유적중 에서 "반구"란 단서를 찾았다。"은하촌"의 은동평 자연촌을 옛날에는 "반구사" 혹은 "이 반고"라고 불렀다。 고증을 철저하고 세밀한 조사를 거쳐 최종 결과는,"이재환님"의 조상 "이수광"은 "반구"에서 태어났다. (지금의 은하촌)
4. 이수광 사신으로 갔다가 공을 세워 고려국적을 취득하다
"한국 양성이씨" 고증이 끝난 후,2010년 여름,양성현 "정협"에서 왕가승 등 연구팀원 들이 산동성 연태시에 가서 현지 한국 기업에 임직중인 이재환 님을 만나게 되었다。이때 조상 고향을 알게 되었다,양성현 "자링향 남유촌"은 아직 "이씨 선인"의 묘지가 많다. 이재환 님은 아주 감격적이었다 "빨리 양성에 가서 조상께 인사를 올리고 싶다"라고 했다。얼마 후 이재환님은 양성 남유촌에 도달하였다,조상 묘지 앞에서 절을 하였다。“그때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묘지 앞에 까지 왔을 때만 해도 맑았던 날씨가 이재환 님이 절을 하니까 비 내리네” 그 당시 이재환 님이 하늘을 우러러보며 길게 탄식하다" 진짜 하늘과 땅까지 감동 시켰구나! 절을 끝내고 곧바로 비가 멈추었습니다.
"고향으로 돌아가 조상께 절을 올린 후, 이재환 님이 왕가승 주임에게 고향 특산물 상황을 알아 보았다. 왕가승은 편지로 수출 가능한 특산물을 상세하게 소개시켜 주었다。그후 이재환 님이 다시 왕가승에게 편지를 보내왔다. 한국 방문객 30여명을 모집하여 "한국 양성이씨" 종친들과 중국 고향방문을 위해 준비중이다. 그러나 “이재환님의 소망은 아직 이루어 지지 못했다” 라고 왕가승이 말했다。
기자가 인터넷에 알게 된 소식이다 현재 "한국 양성이씨"는 약 4만명으로 현재 29세손을 넘어 연속 진행중이다.그중 <대장금>으로 화제가 된 이영애도 "한국 양성이씨" 28대 자손이다。
이수광 관련된 기록을 보면,이수광은 "북 송진종 징덕원년"(1004년) 북송인종 천성십년(1032년),이수광은 무관으로 황제의 천자 근위대 호위대장이 되었다, 이수광은 희년에 고향이 그리웠다. 하사 받은 땅을 "양성"으로 이름을 고쳤다 세상을 떠나기 전에 "고려국 양성 반구 이씨 족보"를 작성하였다. 그의 뜻은 영원히 중국 고향을 잊지마라! 비록 "한국 양성이씨"고향 고증은 밝혀 졌지만 왕가승은 의혹스러 웠다. "이수광” 조상은 당조대 때부터 “구리촌”(현재 자링향 남유촌)의 이씨 가족이었다 가장 늦게 송초(송나라 초기)에 “반구”의 “은동평”으로 이전 하였다. 하지만 “청나라 문종”이후 150년은 이 이씨가족은 어디에 갔을까? 이것이 왕가승에겐 가장 의혹이 남아 있었다.
5. 한국 양성이씨 고향으로 돌아오다
비록 ”반구”에 결론 있었지만 왕가승은 “이씨가족”이 어디서 왔는지 더 의혹 스러웠다. 조쇄응에 의하면,현재 마을에 인구는 30여명 있다. 하지만 이씨는 없었다 옛날에도 이씨는 없었다. 왕가승이 은하촌 북쪽에 황하진 자원촌의 비석에서 답안을 찾았다 “자원촌에는 이씨 촌민들이 아주 많았다” 자원촌 촌민이 말했다: ”은하촌의 이씨는 전부 자원촌에서 이전해 간 것이다” 역사를 보면 북송인종 조진은 북송의 4번째 황제다 (1022년3월23일—1063년4월30일 까지)
“이재환 님이 제공한 자료에 보면 선조 ”이수광”은 1047년에 고려에 사신으로 갔다고 하였다, ”이수광은 북송인종 천자 근위대 호위를 담당하였다. 당시 상황도 사료와 일치하다. 고려에 출사 시간은 송인종 즉위25년 이였다. 그후 공을 받아 고려 특진 금오대 장군 상주국 으로 고려에 남아 있었다。
왕가승은 말한다: “상주국”은 군사 무장의 최고 통치자이다。”북위”、”서위”에 “주국 대장군”과 “상주국 대장군”등을 설치하였고, 수나라 때에는 조대 때 “상주국” ”주국”을 공신 들에게 영예 칭호를 하사하였다.
진성일보 기자 이길의
'뿌리를 찾아 > 종친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중우협] 집행부 2차모임-가원동태찜 2016-09-17 (0) | 2016.09.26 |
---|---|
'16 뿌리찾기 중국관광-뒷모임/ [한중우협] 1차모임 2016-08-19 (0) | 2016.08.21 |
'16 뿌리찾기 중국관광[5일차] 2016-08-07 (0) | 2016.08.10 |
'16 뿌리찾기 규상종친 칠순만찬 2016-08-06 (0) | 2016.08.10 |
'16 뿌리찾기 중국관광[4일차] 2016-08-06 (0) | 201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