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2008-05-16(금)~17(토) (무박2일)
♣ 장소 : 제암산(778m, 전남 장흥군 장동면/ 보성군 웅치면)
사자산(666m, 전남 장흥군 장흥읍/ 보성군 웅치면)
일림산(664m, 전남 장흥군 안량면/ 보성군 웅치면)
♣ 코스 : 갑낭재-작은산(682m)-제암산-곰재-곰재산(614m)-간재-사자산미봉-561봉-곰치4거리
-큰봉우리(614m)-일림산-봉강4거리-626봉-회령3거리-413봉-차도(삼수마을)
-활성산(465m)-봇재
♣ 인원 : 16명
♣ 비고 : 가고파
■ 산행지도
▲ 갑낭재 4:25 출발
<팔각정>
▲ 4:44
<망바위>
▲ 사진 중앙으로 출발지점인 갑낭재가 보인다.
<관광농원 갈림>
▲ 5:20
<보성 반산리>
▲
▲ 지난 구간인 용두산-갑낭재 능선
<작은 산>
<보성 반산리>
■ 작은 산
▲ 5:26 작은산 도착
<제암산 능선>
▲ 작은 산에서 남서쪽으로 본 제암산 능선
<웅치면 강산리>
<일출>
▲ 5:31 일출
<헬기장>
▲ 5:35
<작은 산>
▲ 돌아본 작은 산
<보성 웅치면 리>
<일림산>
▲ 멀리 남동쪽으로 본 일림산
▲ 다시 돌아본 작은 산
<제암산 가는 길>
<작은산>
▲ 작은산에서부터 뻗어온 능선
<웅치면 중산리>
<제암산>
<권중웅 불망비>
▲ 5:55
<제암산 가는 길>
<제암산>
<뒤돌아 본 능선>
▲ 능선 맨 뒤에 보이는 산이 작은산
<웅치면 대산리>
<제암산>
▲ 병풍바위(앞) 뒤로 제암산 임금바위가 겹쳐 보인다.
<일림산-사자산 능선>
▲ 중앙 아래 저수지가 있는 곳에 제암산 자연휴양림이 자리잡고 있다.
<사자산-제암삼 능선>
▲ 사자산(좌측) 우측으로 움푹 들어간 곳이 곰재
■ 휴양림 갈림
<병풍바위>
<병풍바위 위 무덤>
<휴양림내 저수지>
<제암산 정상부>
<제암산 임금바위>
▲ 제암산 정상인 임금바위에 사람이 올라가 있다.(우측)
<병풍바위>
▲ 돌아본 병풍바위
<병풍바위>
<병풍바위>
<제암산 오르는 길>
■ 제암산
▲ 정상인 임금바위 위에 올라서려면 바위를 기어올라야 한다.
▲ 임금바위 위는 넓은 바위로 되어 있다.
<정상 표지석>
▲ 6:26 제암산 정상 도착, 갑낭재로부터 2시간 걸렸다.
■ 제암산 조망
<북쪽>
▲ 장동면 만년리 뒤로 용두산-갑낭재간 능선이 놓여 있다.
▲ 장동 산동마을
<북동쪽>
▲ 좌측으로부터 작은산을 거쳐 지나온 능선이 펼쳐진다.
<동쪽>
▲ 병풍바위 아래로 휴양림이 있는 저수지가 보인다.
<남쪽>
▲ 앞 쪽 바위 뒤로 사자산이 자리잡고 있다.
<남서쪽>
▲ 형제바위를 거쳐 사자산으로 향하는 능선에 철쭉이 피어 있다.
<제암산 정상비>
▲ 임금바위에 쉽게 올라갈 수 없기에 능선상에 또 다른 정상표지석을 세워놓았다. 표지석 뒤로
보이는 바위가 임금바위다.
<제암산 철쭉군락지>
<사자산>
▲ 멀리 사자산(좌측)에서부터 곰재를 거쳐 제암산으로 올라오는 능선
▲ 제암산 서쪽으로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다.
<장동 갈림>
<삼각점>
▲ 장동 갈림길을 지나자 나타난 삼각점
▲ 삼각점에서 본 제암산 임금바위
<철쭉군락지>
▲ 철쭉 뒤로 임금바위가 솟아 있다.
<용두산>
▲ 지난 번에 다녀온 용두산이 북서쪽으로 멀리 어렴풋이 보인다.
<사자산, 곰재 가는길>
<사자산>
▲ 우측 곰재에서 614봉-곰재산(614m)을 거쳐 사자산이 솟아 있다.
<제암산>
▲ 제암산 남동쪽 방향에도 철쭉 군락지가 자리잡고 있다.
<장흥읍>
▲ 서쪽으로 금삼저수지가 있고 그 뒤로 장흥읍내가 펼쳐진다.
<사자산 능선>
▲ 사자산(좌측)으로 향하는 능선
<돌탑>
▲ 제암산과 곰재의 중간지점에 있다.
<장흥읍>
▲ 장흥읍내를 더 확대시켜 보았다.
<제암산>
▲ 돌탑에서 제암산을 뒤돌아 봤다.
<사자산>
▲ 바로 앞 곰재에서 곰재산까지는 경사진 길을 올라야 한다.
<형제바위>
▲ 형제바위?
▲ 곰재에서 614봉 오르는 길이 선명하다.
<곰재로 내려가는 길>
▲
■ 곰재
▲ 7:04 곰재 도착, 돌탑에서 15분 내려왔다.
<곰재 이정표>
<제암산-사자산 안내도>
<곰재산 오르는 길>
▲ 곰재산 전에 있는 614봉 오르는 길
▲ 등산로 주변이 철쭉 군락지다.
▲ 돌아본 제암산
<금산저수지>
<614봉>
▲ 614봉이 바로 앞에 보인다.
▲ 곰재에서 한참 올라와 제암산이 점점 멀어져 보인다.
<장흥읍>
<제암산>
▲ 곰재에서부터 철쭉이 이어져 있다.
<망경굴 갈림 봉우리>
▲ 망경굴 갈림 이정표
<곰재산>
▲ 곰재산 철쭉 군락지가 눈 앞에 펼쳐진다.
<사자산 미봉>
▲ 사자 꼬리에 해당되는 사자산 미봉이다.
<사자산 두봉>
▲ 사자머리는 미봉에서 한참 우측에 자리잡고 있다.
▲ 곰재산과 사자산 미봉 사이에는 간재가 있다.
■ 곰재산 철쭉 군락지
▲ 철쭉이 만개했을 때를 연상해 본다.
▲ 뒤돌아본 614봉
<곰재산>
<곰재산 이정표>
■ 곰재산 조망
<614봉>
<제암산>
<사자산>
<일림산>
■ 곰재산 철죽군락지(사자산 방향)
■ 사자산
<사자산 두봉>
■ 간재
<간재 이정표>
<사자산>
<저수지>
<사자산 정상>
<곰재산과 제암산>
■ 사자산 미봉
<미봉 정상비>
▲ 8:00 미봉 도착
<사자산 정상 이정표>
<사자산 두봉>
<남쪽>
<남서쪽>
<장흥읍>
<사자산 정상>
▲ 정상에서 사진촬영, 조식 등 27분간 체류
<남해바다>
<일림산 능선>
<두봉>
<안량면>
■ 골치산, 일림산 가는 길
<사자산 하산길>
<사자산 남쪽 능선>
▲ 조심, 조심
<휴양림 갈림>
▲ 8:44 안부 갈림길
<사자산>
<안내도>
▲ 보성군에서 세운 안내판
<일림산>
■ 골치4거리
▲ 9:29
▲ 용추계곡(좌측)으로 내려서는 갈림길이다.
<작은 봉>
▲ 9:48
<큰봉우리>
▲ 9:54
<큰봉우리 쉼터>
<일림산>
<제암산>
▲ 제암산 임금바위가 뾰족하게 돌출돼 있다.
<사자산과 제암산>
▲ 사자산(좌측)과 제암산(우측)
<일림산 가는 길>
▲ 누군가 산소 비석을 깨뜨려 몹쓸 행동을 했다.
▲ 일림산 정상부근도 온통 철쭉밭이다.
<철쭉길,산죽길>
▲ 철쪽,산죽으로 뒤덮인 등산로가 매우 아름답다.
▲ 철쭉꽃이 한창 피어나면 정말 장관을 이룰 것 같다.
<갈림 3거리>
▲ 일림산 정상과 한치재가 갈라지는 3거리다.
■ 일림산
<정상 표지석>
▲ 표지석이 세워져 있지 않고 땅에 묻혀있어 이채로운데 묻히게 된 경위가 궁금하다. 처음에는 세워
놓았는데 무슨 곡절로 인해 묻혀진 것은 아닐까?
<일림산 이정표>
<일림산 삼각점>
▲ 정상에 김해김씨 묘도 있다.
<사자산>
▲ 멀리 사자산(가운데 봉우리)으로부터 능선이 이어져 오고 있다.
<봉수대 능선>
<남해바다>
▲ 남해 득량만
<봉수대3거리 가는 길>
▲ 우측 멀리 봉수대3거리에 사람들이 모여있다.
<일림산>
▲ 봉수대3거리로 가다가 뒤돌아본 모습
■ 봉수대 3거리
<먼저 도착한 일행>
▲ 먼저 도착한 일행이 쉼터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다.
<봇재 가는 길>
<626봉>
▲ 우측에 봉강4거리 안부가 보이고 그 뒤로 626봉이 보인다.
<산죽나무 숲>
■ 봉강4거리
▲ 봉강4거리(우측중간) 조금지나 뒤돌아본 일림산
<회천면 회령리>
<일림산>
▲ 일림산(우측)으로부터 봉수대3거리-봉강4거리 능선이 선명하게 보인다.
■ 626봉
▲ 일림산 방향으로 돌아본 626봉 모습
<헬기장>
<이정표>
▲ 진행방향에서 좌측으로는 용추골 주차장으로 갈라진다. 사진에서는 우측
▲ 누군가 바위에 일림산이라고 새겨 놓았다.
<웅치면 대산리>
▲ 능선에서 좌측 북서쪽 조망이다.
▲ 626봉에서 한치재로 내려서는 지점의 나무에 아미봉 표식기를 달아놓았는데 높이가 너무 틀려
잘못 달린 것 같다. 여기서 아미봉은 한치재와 상수마을 갈림3거리에 있는 봉우리를 말하는것 같다.
<봇재 가는길>
▲ 626봉에서 봇재로 가는 능선 중간에 큰 봉우리가 갈림길인 413봉으로 추측된다.
<회천면 회령리>
▲ 사진 중앙에 봇재로 넘어가는 도로가 희미하게 보이고 뒤로는 득량만이 보인다.
<413봉>
▲ 능선 끝으로 413봉이 보인다.
<헬기장>
▲ 11:12
■ 회령3거리
▲ 11:17
<회령리>
<회령다원>
<득량만>
■ 413봉
▲ 11:31
▲ 넓은 등산로를 무심코 따라가면 한치재로 빠지게 되므로 이곳에서 독도에 주의해야한다.
정맥길은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나 있다. 한치재는 직진
▲ 갈라지는 초입에 표식기가 달려 있지면 자세하게 살펴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기 쉬우니 꼭 살펴봐야
한다. 앞서간 일행 2명도 한치재까지 거의 갔다가 되돌아와 합류했다.
<413봉 내려가는 길>
▲ 넓은 한치재 방향 등산로보다 좁아 내려가기가 만만치 않다.
▲ 잠시 경사진 길을 내려가다가 이내 평평한 길이 나타난다.
<대나무숲>
<배나무밭>
■ 삼수마을 입구
▲ 12:08 삼수마을 입구 차도 도착
▲ 차로를 건너 마을길로 진입한다.
<삼수마을 표지석>
<산행 들머리 표식기>
<활성산 가는 길>
<차밭>
▲ 이곳에서 차밭을 처음으로 만났다.
▲ 앞에 보이는 413봉에서 내려와 활성산으로 향하는 일행
▲ 앞에 보이는 삼수마을 방향으로 계속 진행한다.
■ 갈멜사슴농원
▲ 삼수마을로 가는 마을길 우측으로 제법 번듯한 갈멜농원이 나타난다.
<멀리 본 제암산>
▲ 날씨가 가물어 논바닥이 갈라진 논 멀리 뒤로 제암산으로 추측되는 봉우리가 보인다.
<삼수마을 가는 길>
<626봉>
▲ 626봉을 가까이 당겨봤다.
<갈림길>
▲ 마을로 향하는 아스팔트 포장길을 따라가다가 우측 시멘트 도로로 들어선다.
<모내기 준비에 분주한 트랙터>
▲ 시멘트 도로를 조금 따라가다가 앞에 보이는 숲에서 좌측으로 꺽어 올라간다.
<삼수마을>
<413봉>
▲ 뒤 돌아본 413봉 아래 좌측에 걀멜농원이 보인다.
<626봉>
▲ 좌측 413봉 우측으로 626봉이 보인다.
<활성산 가는 길>
<벌목 현장>
▲ 베어 쓰러트린 나무들을 넘어 지나가야 했다.
▲ 앞서가는 일행들이 보인다.
▲ 아스팔트 포장길을 다시 만난다.
<돌아본 626봉 모습>
▲ 아스팔트 포장길에서 다시 뒤를 돌아다 본다.
<보리밭>
▲ 근래에 보기 힘든 보리밭을 여기서 만나게 됐다.
<413봉>
▲ 413봉에서부터 걀멜농원을 거쳐 지나온 도로가 보인다.
<삼수고개>
▲ 12:34 고개마루에서 우측 능선으로 들어선다.
<죽순>
<활성산>
▲ 저기만 넘어서면 봇재로 떨어지는데..
<413봉>
▲ 413봉 밑으로 갈멜농원이 보인다. 우측
<임도>
▲ 한동안 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한다.
▲ 또 다시 뒤돌아본다. 멀리 626봉에서 일림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보인다.
▲ 임도만 따라 가는가 했더니
▲ 숲길로 들어서서 한 15분여간 힘겹게 올라간다.
■ 활성산
▲ 13:09 활성산 도착
■ 차밭
▲ 드디어 봇재 부근에서 차밭이 나타났다.
▲ 다시 숲길로 들어선다.
■ 봇재 차밭
▲ 13:45 봇재가 보이며 이제 다왔다.
▲ 잘 다듬어진 밭
■ 봇재 다원
■ 봇재
▲ 봇재 전경
▲ 13:55 봇재 도착
<애향탑>
<수준점>
<다음구간 산행 들머리>
▲ 에스오일 주유소
▲ 주유소 좌측 임도 표지석이 산행 들머리다.
■ 율포 해수욕장
▲ 14:20
■ 봇재 녹차밭
■ 고속도로 화재사고(정우터널)
▲ 천안-논산간 민자고속도로 정우터널에서 차량화재 사고 발생으로 40여분 이상 정체
■ 기념사진
<제암산>
<사자산>
<차밭>
<봇재>
<율포>
■ 산행일지
산행 NO. | 1,130 <호남정맥 15구간> 갑낭재-봇재 |
산행일자 | 08-05-16(금) / 05-17(토) (무박2일) |
산행지 | 제암산(778m, 전남 장흥군 장동면/ 보성군 웅치면) 사자산(666m, 전남 장흥군 장흥읍/ 보성군 웅치면) 일림산(664m, 전남 장흥군 안량면/ 보성군 웅치면) |
산행코스 | 갑낭재-작은산(682m)-제암산-곰재-곰재산(614m)-간재-사자산미봉-561봉-곰치4거리-큰봉우리(614m)-알림산-봉강4거리-626봉-회령3거리-413봉-차도(삼수마을)-활성산(465m)-봇재 |
산행안내 | 가고파 |
산행회비 | ₩40,000 (중식 미포함) |
산행인원 | 16명 |
산행일정 요약 |
4:25 갑낭재 발-5:26 작은산(682m)(5')-6:11 휴양림갈림(좌)-6:26 제암산(8')-6:49 돌탑-7:04 곰재(3')-7:29 곰재산(614m)-7:41 간재-8:00 사자산미봉(5')-8:10 조식(17')-8:44 안부/휴양림갈림(좌)-9:17 561봉-9:29 곰치4거리-9:54 큰보우리(614m)(3')-10:10 알림산(5')-10:20 봉수대3거리(7')-10:35 봉강4거리-10:50 626봉/용추골갈림(좌)-11:17 회령3거리-11:31 413봉(19')(→좌)-12:08 차도(삼수마을입구)-12:34 고개(→우)-13:09 활성산(465m)(4')-13:55 봇재 착 <총 산행시간 : 휴식시간 포함 9시간 30분> |
경 유 | 08-05-16(금) 22:06 집 출발-22:42 동대문/운(23') 08-05-17(토) 1:30 여산 휴(10')-2:25 백양사 휴(30')-4:20 갑낭재 착 4:25 갑낭재 발-4:44 팔각정-4:52 철탑-5:12 망바위-5:20 관광농원갈림(우)-5:26 작은산(682m)(5')-5:35 헬기장-5:55 권중웅 불망비-6:11 휴양림갈림(좌)-6:16 병풍바위봉(산소)-6:26 제암산(8')-6:49 돌탑-6:58 형제바위-7:04 곰재(3')-7:19 망경굴 갈림-7:22 헬기장-7:29 곰재산(614m)-7:41 간재-8:00 사자산미봉(5')-8:10 조식(17')-8:44 안부/휴양림갈림(좌)-9:17 561봉-9:29 곰치4거리-9:48 작은봉-9:54 큰보우리(614m)(3')-10:06 3거리-10:10 알림산(5')-10:20 봉수대3거리(7')-10:35 봉강4거리-10:49 헬기장-10:50 626봉/용추골갈림(좌)-11:12 헬기장-11:17 회령3거리-11:31 413봉(19')(→좌)-12:05 배밭-12:08 차도(삼수마을입구)-12:22 갈림(→우)-12:29 차도 만남-12:34 고개(→우)-12:53 갈림(→좌)-13:09 활성산(465m)(4')-13:18 차밭-13:38 임도통과-13:45 차밭-13:55 봇재 착 14:10 봇재 발-14:20 율포(55')중식-18:07 이인휴(12')-18:35 정우터널/화재사고(43')-20:51 논현역-21:45 집착 |
소요경비 | 1. 산행회비 : 40,000 2. 교통비 : 전철 1,000 + 1,200 3. 식량 : 중식(백반정식) 6,000, 매실물(4) 4. 기타 : 계 ₩ 48,200 |
비고 |
'1대간 9정맥 > 호남정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남정맥 17구간(오도재-석거리재) 방장산,존제산 (0) | 2008.06.23 |
---|---|
호남정맥 16구간(봇재-오도재) 봉화산,대룡산 (0) | 2008.06.09 |
호남정맥 14구간(곰재-갑낭재)가지산,용두산 (0) | 2008.05.15 |
호남정맥 13구간(개기재-곰재) 계당산,봉미산 (0) | 2008.04.25 |
호남정맥 12구간(서밧재-개기재) 천운산,두봉산 (0) | 2008.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