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시 : 2008-01-25(금)~26(토) (무박2일)
♣ 장소 : 서북산(739m, 경남 마산시 진전면,진북면/ 함안 여항면)
여항산(770m, 경남 마산시 진전면/ 함안 여항면)
♣ 코스 : 한티고개-대부산(649m)-서북산(739m)-여항산-744봉-미산령-우곡재-527봉-발산재
♣ 인원 : 17명
♣ 비고 : 가고파산우회
■ 산행지도
◎ 5:05 한티고개 출발
<봉곡 갈림>
▲ 5:29 우측으로 갈림길(봉곡 방향)에 있는 이정표
<대부산>
▲ 봉화산 갈림길(우측 방향)인 대부산(649m)에 있는 이정표. 6:02 통과
<임도 고개>
▲ 위치상 진북면 영학리에서 여항면 버드내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마루
▲ 고개마루에 세워져 있는 이정표, 미천은 진전면 평암리 마을로서 임도를 따라 능선을 한참 넘어가야
나온다.
<서북산 오르는 길>
▲ 고도가 높아질수록 눈이 점차 보이기 시작한다.
▲ 날이 점차 밝아 오면서 멀리 남해바다가 보인다. 진북면 영학리 일대
▲ 영학리 마을에는 날이 아직 밝지 않아 불빛이 보이고 있다. 저수지는 학동저수지
■ 서북산
▲ 서북산 정상은 넓은 공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망도 매우 좋다.
▲ 정상 비석
▲ 정상 이정표
<서북산 조망>
▲ 동쪽으로는 대부산을 거쳐 내려온 고개마루 주변으로 임도가 여러갈래 지나가고 있다. 좌측에 보이는
능선을 따라 서북산을 올라온 것이다.
▲ 봉화산(676m, 좌측)에서 대부산(649m,가운데)을 거쳐 능선이 길게 이어지고 있으며 산 중턱으로도
임도가 길게 이어지고 있다.
▲ 북쪽으로 본 여항산 방면
<서북산 전적비>
▲ 산 정상에 제법 격식을 차례놓은 전적비
<여항산 가는 길>
▲ 정상을 조금 지나와 돌아본 서북산
▲ 능선에서 동쪽 여항면 주동리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
▲ 북쪽으로 본 모습으로 우측 끝에 여항산(770m)가 보이고 중간에 보이는 봉우리가 우측 능선으로
갈림길이 있는 706봉이다.
▲ 우측 동쪽으로 봉화산(좌측)-대부산 능선을 바라본 모습
▲ 지대가 높아 능선에는 눈이 제법 쌓여 있다.
<별천 갈림 3거리>
▲ 706봉으로 가는 도중에 적십자수련원이 있는 별천마을 갈림길이 우측으로 있는 이정표가 있다.
▲ 바로 앞에 706봉이 보이고 우측으로 능선 뒤에 여항산이 살짝 보인다.
▲ 능선에서 서쪽 진전면 평암리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
▲ 마을 모습을 조금 앞당겨 봤다. 지도상 평암리 음지,양지 마을이다.
<뒤 돌아본 서북산>
▲ 서북산(좌측)을 조금 밖에 지나오지 않았다.
▲ 남동쪽으로 있는 서북산을 뒤돌아 봤다.
<대촌갈림 3거리 / 706봉 >
▲ 봉우리에 이정표가 있어 706봉 임을 짐작할 수 있다.
▲ 갈림길 옆에 있는 마당바위
▲ 마당바위에서 동쪽으로 본 봉화산-대부산, 사진 중앙 좌측에 청소년 수련원이 위치한다.
▲ 저멀리 눈앞에 여항산이 우뚝 솟아 있다. 여항산을 지나 그 좌측으로 움푹꺼진 곳이 미산령이다.
<전망대>
▲ 갈림길 조금 지난 바위 전망대에서 돌아본 서북산(우측), 좌측은 706봉
▲ 남서쪽으로 행해 골짜기 끝 부분은 바짝 앞당겨 봤다. 진전면 평암리 일대
<서쪽 조망>
▲ 위치상 진전면 고사리 같은데 여기서는 마을이 안보인다.
<여항산 원경>
▲ 나뭇가지 사이로 여항산이 살짝 보인다. 우측으로 보이는 바위가 암릉지대다.
■ 암릉지대
▲ 암릉지대 우측으로 우회길이 있으나 앞서가는 일행은 바윗길로 그냥 올라가고 있다.
▲ 이런 곳에 이런 재미난 코스가 있다니 신기하기만 하다.
▲ 경사는 가파르나 그런대로 올라갈만 하다.
▲ 어려운 위치마다 굵은 로프가 매여 있어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 난코스>
▲ 꼭대기 큰 소나무에 로프가 매달려 있는데
▲ 이곳을 올라 서려면 위치가 불안정해 조금 애를 먹게 된다.
■ 암릉위
▲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
■ 암릉위 조망
<남동쪽>
▲ 706봉에서 좌측으로 뻗어내린 능선 뒤로 대부산에서 이어진 능선이 뒤로 보이고 우측 뒤로는 남해
바다가 보인다.
▲ 앞에 보이는 706봉 좌측 뒤로 서북산이 보인다.
▲ 706봉에서 계속 능선이 이어져 보인다.
<서쪽>
▲ 여양리 부락 뒤로 보이는 527봉 우측으로 오곡재가 지나가게 된다.
▲ 여양리 부락을 좀 더 당겨봤다.
▲ 미산령(우측)에서 오곡재로 이어지는 능선
<북쪽>
▲ 여항산이 가까이 보인다.
▲ 바로 앞에 또 다른 바위지대가 있는데 규모는 작다.
■ 여항산
▲ 웅장한 모습을 드러낸 여항산, 제일 꼭대기에 사람 모습이 보인다.
▲ 봉우리 중턱에 로프가 매어져 있다.
<여항산 밑 3거리>
▲ 3거리에 있는 이정표
▲ 좌측 우회길과 좌촌 갈림길(우측)이 나뉘어져 있다.
<여항산 오름길>
▲ 뒤에서 열심히 올라오고 있다.
■ 여항산 정상
▲ 남쪽에서 본 모습
▲ 북쪽에서 본 모습
▲ 조망안내도와 정상비가 보인다.
▲ 정상비
▲ 조망안내도
■ 여항산 조망
<동쪽>
▲ 외암리 부락에 봉성저수지가 보이고 우측 뒤로 투구봉이 있다.
▲ 뒷쪽으로 봉화산(좌)-대부산 능선이 보인다. 봉화산 뒤로 보이는 산이 광려산이다.
<남쪽>
▲ 서북산(좌측)에서부터 706봉(가운데)을 거쳐 소무덤봉(668m/우측)을 지나온 능선이 거침없이
이곳 여항산까지 달려오고 잇다.
<서쪽>
▲ 서쪽 여양리 부락, 정맥길은 우측에 보이는 527봉에서 능선을 따라 좌측 끝까지 이어진다.
▲ 부락 좌측으로 여양저수지가 보인다.
<북쪽>
▲ 좌측 움푹 들어간 미산령과 여항산 북쪽 봉우리인 744봉이 우측 뒤로 살짝 보인다.
▲ 여항면 소재지(우측 저수지 작은 봉우리 뒤), 좌측 뒤는 함안면 소재지
■ 정상부근 헬기장
▲ 정상에서 출발해 5분거리에 헬기장이 나타난다.
▲ 넓은 공터로 이루어진 헬기장
▲ 헬기장에서 우측으로 좌촌 갈림길이 있다. 좌촌 2코스
▲ 헬기장에서 본 여항산 정상
<좌촌 갈림길>
▲ 헬기장에서 미산령 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면 우측에 좌촌 갈림길이 또 나타난다. 좌촌3코스
▲ 좌측으로 움푹 들어간 미산령과 여항산 북쪽 봉우리인 744봉이 우측에 보인다.
▲ 미산령(우측)에서 봉우리를 살짝 지나 좌측 오곡재까지 능선이 이어진다.
▲ 북쪽 사면이라 여기는 눈이 제법 많았다.
<배능재>
▲ 미산 마을 갈림길이 있는 배능재
<돌무더기>
<서쪽 조망>
▲ 여양리
▲ 여양 저수지와 둔덕 마을
<북쪽>
<744봉>
<미산령>
▲ 미산령까지 올라오는 도로가 보인다.
<여양리>
<돌무더기>
▲ 남쪽으로 여항산 방면을 본 모습
■ 744봉
<돌탑>
▲ 북쪽으로 본 모습
<여양리 부락>
▲ 여양저수지와 둔덕마을이 더욱 가까이 보인다.
<가야읍>
▲ 멀리 함안군청이 있는 가야읍이 바라보인다.
<미산령>
▲ 산 아래로 미산령을 넘나드는 산길이 구불구불하게 모인다.
■ 미산령
▲ 미산령은 차량통행을 금하는 말뚝을 세워 놓았다.
▲ 미산령에 있는 이정표
▲ 남쪽 여양리 방면은 일부 시멘트 포장이 돼 있다.
<여항산 전경>
▲ 744봉(좌)에서 여항산(우측)으로 이어진 능선
▲ 여항산(좌측)에서 서북산으로 능선이 이어지고 있다.
<군북면 사촌 갈림 봉우리>
▲ 미산령에서 20여분이면 능선이 갈라지는 봉우리에 올라서게 된다.
▲ 능선3거리에 있는 이정표, 여기서 종착지점인 발산재까지 10km 이상 남았다.
▲ 내리막길
■ 오곡재
▲ 차량이 통행하는 오곡재에 11:14 도착
▲ 오곡재 이정표에 있는 지명 산서(비실)을 알 수가 없다.
▲ 오곡재는 함안 군북면 오곡리에서 남쪽 마산 진전면 여양리를 넘나드는 고개다.
<여항산 전경>
▲ 오곡재에서 527봉에 오르다가 이따금 뒤를 돌아 건너편 여항산을 바라본다.
▲ 미산령(우측)에서 이어져 내려온 능선
<여항산 전경>
▲ 이곳에서는 여항산이 막힘없이 깨끗하게 바라보인다.
▲ 여항산 정상부분
<527봉>
<군북면 오곡리 부락>
▲ 527봉 부근에서 북쪽으로 본 오곡리 전경
▲ 우측으로 오곡재로 오르는 찻길이 굽이쳐 보인다.
<오봉산 갈림3거리>
▲ 갈림 이정표
▲ 쓰러진 나무들이 종종 보인다.
<소나무숲>
▲ 능선 바로 옆으로 시멘트 임도가 계속 지나간다.
▲ 발산재는 앞에 보이는 봉우리를 지나 우측으로 넘어가야 한다.
▲ 오전에 산 능선에서 바라봤던 평암리 미천마을 전경
▲ 평암리에 있는 평암저수지.
▲ 능선 바로 옆 임도에 경운기가 올라와 있다.
▲ 멀리 여항산 능선이 보인다.
<쓰러진 나무들>
▲ 절개지가 보이며 발산재가 가까이 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좌측으로 보이는 봉우리가 다음
구간에 오르게 될 깃대봉 부근으로 추정된다.
<옛 발산재>
▲ 차량통행이 거의 없다.
■ 발산재
▲ 고갯마루에 도로를 통과시키기 위해 산을 엄청 깍아내렸다.
▲ 이 고개를 넘어서면 진주시로 접어들게 된다. 왕복 6차선 도로가 훤히 뚫려있다.
▲ 길 건너편에 타고 가야할 소형버스가 보인다.
▲ 절개지에 대형 산불조심 안내표지가 보인다.
▲ 이도로는 2번 국도다.
▲ 굴다리 밑으로 통과하여 반대편 차선으로 진입한다.
▲ 마산시 경계에 세워진 홍보광고판 밑에 14:30에 도착하여 산행종료
▲ 도착지점에서 돌아 본 하산길
■ 고종후 장군 묘역과 신도비
▲ 발산재에 고장군 묘역 입구 표시와 신도비가 보인다. 다음 구간은 이 시멘트 길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신도비>
<신도비 안내문>
■ 발산재 휴게소
▲ 발산재 수발사 입구에 객들이 쉬어가기에 좋은 정자가 하나 있다.
<약수터>
▲ 정자 옆에는 물이 잘 나오는 약수터도 있다.
<진전면 봉암리 대정 부락>
▲ 이날 점심을 먹은 선동식당
■ 기념사진
<서북산>
▲ 혼자 본인 사진을 찍다보니 아래 사진과 자세가 너무나 비슷하다.
<여항산>
▲ 날씨가 추워 볼과 콧등이 붉그레하다.
<산행 동행자>
▲ 점심을 먹고나서 잠시 휴식을 취했다.
▲ 항상 선두그룹을 도맡아 앞질러 가는 수원사부(좌)
■ 산행일지
산행 NO. | 1,104 <낙남정맥 5구간> 한티고개-만날재 |
산행일자 | 08-01-25(금) / 01-26(토) (무박2일) |
산행지 |
서북산(739m, 경남 마산시 진전면,진북면/ 함안 여항면) 여항산(770m, 경남 마산시 진전면/ 함안 여항면) |
산행코스 | 한티고개-대부산(649m)-서북산(739m)-여항산-744봉-미산령-우곡재-527봉-발산재 |
산행안내 | 가고파 |
산행회비 | ₩40,000 (중식 포함) |
산행인원 | 17명 |
산행일정 요약 |
5:05 한티고개 발-6:02 대부산(649m)-7:00 고개-7:30 서북산(739m)(12')-8:08 706봉-9:14 여항산(12')-10:00 744봉(7')-10:25 미산령-11:14 우곡재(4')-11:41 527봉(△)-14:30 발산재 착 <총 산행시간 : 휴식시간 포함 9시간 25분 > |
경 유 | 08-01-25(금) 22:00 집 출발-22:45 동대문/운(20') 08-01-26(토) 01:20 죽암 휴(10')-03:35 휴(40')-4:55 한티고개 착- 5:05 한티고개 발-5:29 우갈림(봉곡)-6:02 대부산(649m)3거리(3')-6:35 임도-7:00 고개-7:30 서북산(739m)(12')-7:53 우갈림(별천)-8:08 706봉3거리(우→대촌)8:38 우갈림-8:45 바위밑-9:09 3거리(우갈)-9:14 여항산(12')-9:31 헬기장-9:38 배능재(우갈림)-9:46 돌탑군-10:00 744봉(7')-10:25 미산령-10:42 봉우리(→좌)-11:14 우곡재(4')-11:38 봉우리-11:41 527봉(△)-11:54 오봉갈림-12:22 안부(큰정고개)-12:30 휴(12')-12:52 좌.임도-13:51 철탑-14:01 봉우리(→우)-14:23 발산재 구도로-14:30 발산재 착 14:50 발산재발-14:55 중식(47')-15:42 대정리 발-16:00 진성IC-16:08 문산휴(13')-18:06 신탄진휴(10')-20:05 논현역-20:58 집착 |
소요경비 | 1. 산행회비 : 40,000 2. 교통비 : 전철 900 + 1,200 3. 식량 : 김밥(2) 2,000 귤 1,000 빵 1,000 매실물(2) 4. 기타 : 계 ₩ 46,100 |
비고 | 1. 눈 위에 눈이 생각보다 많음(서북산-여항산 구간) 2. 서북산 정상에 전적기념비 세워짐 3. 여항산 정상부 암봉, 전망 양호 4. 미산령 통행불가, 우곡재 통행가능 5. 발산재 도로 확장 6. 진전면 식당에서 중식(김치찌개) |
▷ 후기
'1대간 9정맥 > 낙남정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남정맥 7구간(장발재-부련이재) 무량산, 대곡산 (0) | 2008.03.18 |
---|---|
낙남정맥 6구간(발산재-장발재) 깃대봉,용암산 (0) | 2008.02.27 |
낙남정맥 4구간(윗담고개-한티고개) 무학산,광려산 (0) | 2008.01.14 |
낙남정맥 3구간(우곡사-윗담고개) 정병산,천주산 (0) | 2007.12.23 |
낙남정맥 2구간(낙원고개-우곡사) 용지봉,대암산 (0) | 2007.12.13 |